요즘 주식 안 하는 사람 찾기 어렵죠.
출근길에 지하철 타도, 점심시간에 카페 가도 “삼성전자 언제 오를까?”, “오늘 미국장 어땠대?” 하는 대화 자주 들립니다.
심지어 제 친구 엄마도 스마트폰에 HTS 깔고, 요즘엔 ETF에 관심이 많으시다니까요.
그만큼 주식이 더 이상 ‘전문가들만 하는 투자’가 아니라, 일상 속 재테크 수단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는 뜻이에요.
근데…
막상 주식 투자해보면 느끼는 거, 수익 나도 세금이 너무 아깝다는 거죠.
저도 몇 번 경험했는데요.
이익 보고 매도 눌렀는데, 체결되고 나서 보니 내 계좌에서 생각보다 큰 금액이 빠져나가 있는 거예요.
“어? 이건 뭐지?” 봤더니 바로 그놈의 ‘증권거래세’.
이게 웃긴 게, 수익이 나든, 안 나든, 주식을 팔기만 하면 무조건 빠져나가는 세금이거든요.
손해 보고 팔아도 세금은 정직하게 떼어갑니다.
이럴 거면 도대체 뭘 위해 투자하는 건가 싶을 때도 있었죠.
그런데 그 증권거래세가 2025년부터 인상됐다고 하니까 “이제 주식도 눈치 보면서 팔아야 하나...” 이런 말까지 나오는 상황입니다.
특히 단타 많이 하시는 분들, 소액 투자지만 한 달에 몇 번씩 사고파는 분들이라면 이번 인상이 꽤 부담될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 증권거래세가 정확히 어떤 세금인지,
✔ 올해부터 얼마나 오르게 됐는지,
✔ 실제로 내 통장에서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절세하면서 투자할 수 있을지
생활 밀착형으로 쉽게 풀어드릴게요.
이 글 읽고 나면, 앞으로 주식 매도하실 때 “어? 이 정도면 괜찮네!” 하실 수 있을 거예요.
증권거래세란? 그냥 팔기만 해도 나가는 세금
쉽게 말해 주식을 매도할 때 무조건 붙는 세금이에요.
이익을 봐도, 손해를 봐도 상관없이 팔기만 하면 자동으로 빠져나가죠.
✔ 예: 1천만 원어치 팔면 → 정해진 비율만큼 세금 자동 차감
✔ 증권사 수수료랑은 별개예요
그래서 ‘단타’ 하는 분들이 특히 예민한 게, 거래할 때마다 이 세금이 계속 나가니까
수익이 쌓이기 전에 세금으로 먼저 줄어드는 느낌이 들죠.
2025년부터 얼마가 바뀌었냐면요
작년까지는 이랬어요:
- 코스피/코스닥: 0.20%
- 장외주식: 0.45%
근데 올해부터는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 코스피/코스닥: 0.23%
- 장외주식: 0.50%
📌 즉, 1천만 원어치 팔면 2만 원 → 2만3천 원으로 증가
한 번은 괜찮지만,
월 4~5회 이상 매도하는 사람한테는 꽤 부담되죠.
투자자 입장에서 뭐가 문제냐면요
☑ 수익과 상관없이 부과됨
☑ 거래 많을수록 세금 부담 누적
☑ 대형 기관보다는 개인 투자자에게 불리함
☑ 세율 인상인데, 뚜렷한 투자자 혜택은 없음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세금’은 수익 나면 내는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건 무조건 내야 하는 구조라
손해 보고 팔아도, 거래세는 그대로 떼입니다.
그럼 이걸 줄이거나 피할 수는 없을까?
✔ 사실상 거래세는 피할 수 없지만,
매도 횟수 줄이기와 장기 투자 전략으로 조금이라도 절약할 수 있어요.
✔ 단타보다는
- ETF,
- 배당주 장기 보유,
- 분할 매도 등으로
세금 지출을 ‘적게, 간격 넓게’ 나눠보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죠.
이젠 수익률보다 ‘순이익률’을 보는 시대입니다
2025년 증권거래세 인상은 우리가 평소 주식할 때 체감 못 하다가, 막상 팔아볼 때 “어? 왜 이렇게 빠져나가?” 하는 지점에서 현실로 체감되는 문제예요.
투자자 입장에서 세금은 피해 갈 수 없지만, ‘어떻게 하면 조금 덜 낼 수 있을까’에 대한 전략은 지금부터라도 고민해보는 게 필요합니다.
✔ 무작정 사고파는 단타보다는
✔ 거래 횟수 줄이고,
✔ 수익률 관리보다 순수익률 위주로
장기적으로 설계하는 게 이제는 기본 전략이에요.
조금 귀찮더라도, 내가 버는 수익을 ‘진짜 내 돈’으로 만들고 싶다면 세금 계산까지 고려한 투자 계획, 지금부터 챙겨보세요.